top of page
작성자 사진EK-G Research Team

해외직접투자(FDI)가 중요할 수 밖에 없는 이유 - 비유동자산과 삼성전자의 사례를 중심으로

최종 수정일: 9월 23일


재무상태표의 자산 부분에서 비유동자산을 보면, 유형과 무형자산으로 나눌 수 있는데, 이 중에 유형자산 (Tangible Assets = PP&E: Property, Plant and Equipment)이란 재화나 용역의 생산이나 제공, 타인에 대한 임대 또는 관리활동에 사용할 목적으로 보유하는 물리적 형태가 있는 자산으로서 한 회계기간을 초과하여 사용될 것이 예상되는 자산을 말한다.


유형자산의 종류에는 1) 토지, 2) 건물, 3) 구축물, 4) 기계장치, 5) 기타 (차량운반구, 선박, 비품, 공기구, 건설중인 자산 등이 포함된다.


이 중에 한국기업은 1/4이상이 제조업에 기반을 두며, 대외의존도 역시 2022년 기준 한국의 GNI 대비 수출입 비율은 100.6%로 미국의 35.7%, 프랑스의 85.7%, 영국의 91.3%에 비해 높다.


한국의 재계순위 1~5위를 보아도 전자, 자동차, 석유화학제품 등의 제조업이 핵심 영업활동인 기업들이 포진하여 있다. 이 중에서 한국의 1위 기업인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비유동자산 비율과 제조업 생산시설을 언제, 어디에 설립하여 왔는지 연혁을 살펴보고자 한다.


삼성전자의 2023년 사업보고서 기준 (55기) 자산총액은 455,905,980,000,000원이다. 이 중 비유동자산의 총액은 259,969,423,000,000원으로 약 57%를 차지한다. 비유동자산 중에 유형자산 (187,256,262,000,000원)이 차지하는 비율은 72%에 달한다.


이러한 유형자산을 살펴보면, 기계장치비가 절반에 육박하고 (83,309,168,000,000원), 건설중인 자산 (46,720,328,000,000원), 건물 및 구축물 (43,238,115,000,000원), 토지 (9,999,377,000,000원)가 그 뒤를 따른다.



유형자산의 대부분이 이렇듯 제조 및 연구시설을 구축하는 데 있고 총 자산에서 유형자산이 차지하는 비중이 약 41%에 육박한다.


이와 같이 한국 재계서열 1위의 삼성그룹만 하더라도 1978 년 7월에 Samsung Electronics America, Inc. (SEA) 미국 뉴저지에 현지판매법인을 설립하였다. 그리고 일찍이 1990년대와 2000년 대 초반 중국으로의 활발한 직접투자를 통하여 단가를 낮춘 중국 내수와 수출을 잡는 생산시설 투자를 하게 된다.

Tianjin Samsung Electronics Co., Ltd. (TSEC)

1993. 04

TVㆍ모니터 생산

Suzhou Samsung Electronics Co., Ltd. (SSEC)

1995. 04

가전제품 생산

Samsung Suzhou Electronics Export Co., Ltd. (SSEC-E)

1995. 04

가전제품 생산

Tianjin Samsung Telecom Technology Co., Ltd. (TSTC)

2001. 03

통신제품 생산

Samsung Electronics Suzhou Computer Co., Ltd. (SESC)

2002. 09

전자제품 생산, R&D

Samsung (China) Semiconductor Co., Ltd. (SCS) (Xian)

2012. 09

반도체 생산

Samsung Electronics Suzhou SemiconductorCo., Ltd. (SESS)

1994. 12

반도체 임가공


동시에 인도네시아, 인도, 베트남 등지의 아시아 국가들에서의 생산설비 시설 확충을 해오고 있다.


Thai Samsung Electronics Co., Ltd. (TSE)

1988. 10

전자제품 생산 및 판매

Samsung India Electronics Private Ltd. (SIEL)

1995. 08

전자제품 생산 및 판매

Samsung Display Noida Private Limited (SDN) (India)

2019. 07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

PT Samsung Electronics Indonesia (SEIN)

1991. 08

전자제품 생산 및 판매

PT Samsung Telecommunications Indonesia(STIN)

2003. 03

전자제품 판매 및 서비스

Samsung Vina Electronics Co., Ltd. (SAVINA)

1995. 01

전자제품 판매

Samsung Electronics Vietnam Co., Ltd. (SEV)

2008. 03

전자제품 생산

Samsung Electronics Vietnam THAINGUYEN Co.,Ltd. (SEVT)

2013. 03

통신제품 생산

Samsung Electronics HCMC CE Complex Co., Ltd. (SEHC)

2015. 02

전자제품 생산 및 판매

Samsung Display Vietnam Co., Ltd. (SDV)

2014. 07

디스플레이 패널 생산

DOWOOINSYS VINA COMPANY LIMITED

2022. 06

디스플레이 패널 부품 생산

북미와 유럽시장을 대략적으로 살펴 보면 하기와 같다.


Samsung Electronics America, Inc. (SEA)

1978. 07

전자제품 판매

Samsung International, Inc. (SII) (California)

1983. 10

전자제품 생산

Samsung Mexicana S.A. de C.V (SAMEX)

1988. 03

전자제품 생산

Samsung Austin Semiconductor LLC. (SAS)

1996. 02

반도체 생산

Samsung Electronics Home Appliances America, LLC (SEHA)

2017. 08

가전제품 생산


Samsung Semiconductor Europe GmbH (SSEG) (Munich)

1987. 12

반도체ㆍ디스플레이 패널 판매

Samsung Semiconductor Europe Limited (SSEL) (UK)

1997. 04

반도체ㆍ디스플레이 패널 판매

Samsung Electronics Europe Logistics B.V.(SELS) (Netherlands)

1991. 05

물류

Samsung Electronics Benelux B.V. (SEBN) (Netherlands)

1995. 07

전자제품 판매

Samsung Electronics Europe Holding CooperatiefU.A. (SEEH) (Netherlands)

2008. 10

해외자회사 관리

Samsung Electronics Polska, SP.Zo.o (SEPOL)

1996. 04

전자제품 판매

Samsung Electronics Poland ManufacturingSP.Zo.o (SEPM)

2010. 02

가전제품 생산

Samsung Electronics Hungarian Private Co. Ltd. (SEH)

1989. 10

전자제품 생산 및 판매


2024년 7월 5일 공시를 통해 삼성전자는 올해 2분기 매출액 74조원, 영업이익 10조4000억원을 달성한 것으로 잠정 집계가 되었다고 밝혔다. 전년 동기와 비교할 때 매출액은 23.31% 증가했고, 영업이익은 1452.24% 급증했다.


삼성전자의 분기 영업이익이 10조원을 넘은 것은 2022년 3분기(10조8520억원) 이후 7개 분기 만으로 이는 전년도 연간 영입이익(6조5700억원)보다 많다. 반도체사업이 있는 DS부문에서의 실적이 호실적이었던 것으로 파악이 된다. 향후 HBM사업에서의 주도권을 가져올 수 있는지 보아야 겠지만 현재까지는 순항하고 있다고 보여진다.


삼성전자는 늘어나는 반도체 수요, 디커플링 현상을 반영하여 미국 텍사스주 테일러시에 반도체 팹 공장을 건설 중에 있다. 5nm(나노미터, 1nm=10억분의 1m)급 반도체를 생산할 수 있는 최첨단 라인이 들어서고 1공장과 2공장에 총 약 22조원의 투자가 이루어 지고 있다.


지금까지의 삼성전자의 국내 제조시설, 사업장 확장의 행보로 보아 강남, 용인, 수원, 평택 등으로 이어지는 클러스터로의 사업확장을하는 만큼, 향후 미주 내에서도 특히, 반도체 비즈니스 생산시설은 타 주에서 capex의 90%이상의 지원금을 제공하지 않는 이상 기존의 텍사스주 내에서의 사업장 확장을 모색해볼 가능성이 높아 보인다.

물론, 이는 반도체 산업이 가진 특수성 (전력, 고급인력 수급 등)에 기반하여 일견 보이는 부분이며, R&D센터, Innovation, 신기술사업자, 벤처기업 투자, 가전생산설비 공장 부지, 자회사관리 사업장 등은 충분히 미주 내 다른 주에서 발견할 수 있고 향후 확장이 일어날 수 있어 보인다.


이케이글로벌 (EK Global)은 한국기업의 해외직접투자를 해외정부기관의 한국사무소로서 지원하는 업을 하고 있는 만큼, 이 곳에서는 특히 삼성전자를 중심으로 한 "해외사업장" 설립에 대한 발자취를 중심으로 보았음을 밝힌다.


참고문헌:

전자공시시스템,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업보고서(2023.12), 2024년 3월 12일, https://dart.fss.or.kr/dsaf001/main.do?rcpNo=20240312000736

박정민, 김춘광, 이재은, “삼성전자의 국제화에 관한 역사적 고찰: 후발기업의 추격 모델을 중심으로”, 2018년 4월





조회수 17회댓글 0개

Comentarios


bottom of page